라우드니스 정규화
Spotify로 제출되는 음악은 다양한 볼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Spotify는 라우드니스 정규화 기능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음악과 시끄러운 음악의 균형을 맞추어 좀 더 일정한 볼륨으로 음악을 제공합니다.
참고: 웹 플레이어 및 타사 기기(예: 스피커 및 TV)는 라우드니스 정규화를 사용하지 않습니다.
Spotify가 라우드니스를 조정하는 방법
Spotify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ITU 1770 표준에 따라 트랙을 -14dB LUFS로 조정합니다.
- 전체 앨범을 동시에 정규화하므로 게인 보상이 트랙 간에 변경되지 않습니다. 즉, 부드러운 곡은 의도한 그대로 부드럽게 재생됩니다.
- 앨범을 셔플하거나 여러 앨범의 트랙을 청취하는 경우(예: 플레이리스트 청취)에는 개별 트랙을 조정합니다.
포지티브 게인 보상 또는 네거티브 게인 보상은 재생하는 중에만 트랙에 적용됩니다.
- 네거티브 게인은 더 큰 마스터링에 적용되므로 라우드니스 레벨이 -14dB LUFS입니다. 이는 마스터링에 비해 볼륨을 줄여주므로 추가적인 왜곡은 발생하지 않습니다.
- 포지티브 게인은 부드러운 마스터링에 적용되므로 라우드니스 레벨이 -14dB LUFS입니다. 트랙의 헤드룸을 고려하여 손실 인코딩의 경우 오디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1dB의 헤드룸을 남겨둡니다.
예: 트랙 라우드니스 레벨이 -20dB LUFS이고 True Peak 최대값이 -5dB FS인 경우, 해당 트랙은 최대 -16dB LUFS 수준까지만 높입니다.
또한 Premium 리스너는 앱 설정에서 볼륨 정규화 레벨을 선택하여 시끄러운 환경이나 조용한 환경에 맞춰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.
- 크게: -11dB LUFS
참고: 최대 True Peak 값과 관계없이 이러한 레벨을 설정합니다. 이 경우 리미터를 적용하여 부드럽지만 동적인 트랙이 왜곡되거나 잘리지 않도록 합니다. 시작 시간 5ms, 감쇠 시간 100ms인 -1dB(샘플 값)에 맞물리도록 설정된 리미터도 적용됩니다. - 보통: -14dB LUFS
- 작게: -19dB LUFS
마스터링 팁
라우드니스 정규화를 설정하면 트랙이 항상 마스터링된 레벨로 재생되지 않습니다.
- 마스터링의 라우드니스 수준 목표를 -14dB 통합 LUFS로 잡고 -1dB TP(True Peak) 미만으로 유지하세요. 손실 압축 형식(Ogg/Vorbis 및 AAC)에는 이 방법이 최선이며 이렇게 하면 트랜스코딩 프로세스에서 추가적인 왜곡이 발생하지 않습니다.
- 마스터링의 라우드니스가 -14dB 통합 LUFS 보다 클 경우 추가적인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-2dB TP(True Peak) 미만을 유지해야 합니다. 소리가 큰 트랙일수록 트랜스코딩 프로세스에서 왜곡이 추가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.
이 문서가 도움이 되었나요?